박물관

포모사(formosa) 타이완(대만) 문화 (2013년10월8일-12월1일) 안내책자 : 부산박물관 국제교류전

갈매기조나단 2013. 10. 24. 08:00

부산박물관에서 대만문화를 주제로 국제교류전을 하고 있어, 오늘 방문해 보았습니다.

대만이란 이름은 참 친숙한데 반해, 대만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접할 기회는 흔치 않았던 것 같네요.

이번 전시는 대만의 생활문화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어, 대만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장개석 총통이 대륙에서 가져온 국보급 유물 전시가 아닙니다)

전시실을 방문했을 때, 마침 해설사의 해설이 진행되고 있어서, 유물들에 관한 해설까지 들을 수 있는 행운도 있었습니다.

시간 되시는 분들은 한번 방문하셔서, 대만만의 독특한 문화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관람료는 무료, 관람시간 오후 8시까지)

 

이번 전시에서 느낀 몇 가지 내용을 요약해보면

1. 자수문화가 생활전반에 걸쳐 상당히 발전되었다.

 

2. 도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과거 대만산 무협영화가 크게 흥행할 때, 도교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던가 봅니다.

    귀신을 쫓는 도사, 태극권, 부엌귀신, 화장실 귀신 등 모두 도교의 영향입니다.

 

 

3. 독립된 중앙집권국가를 이룬 적이 거의 없었다.

    1662년 명나라의 정성공이 당시 대만에 주둔한 네덜란드인들을 몰아내고 정씨왕조를 21년간 연것이 유일한 중앙집권국가였습니다.

    12세기 송대 전후(?)로 한족들이 대만에 들어오기 전에는 최소 14개 부족의 원주민들이 대만의 주인이었습니다.

    12세기 이후 대부분의 기간은 중국의 왕조에 예속된 지방으로 근대까지 이어왔습니다.

 

4. 민족구성이 다소 복잡하다.

    12세기 전후로 한족이 대만으로 들어오기 전에는 여러 부족들(최소 14개부족 이상)의 원주민들이 대만의 주인이었습니다.

    이후 원주민들은 대만의 우측 절반을 차지하는 산악지대로 밀려나고, 좌측 절반 평지에는 한족들이 자리를 잡게 됩니다.

     1945년 일본이 물러난 대만에 장개석의 국민당군대와 대륙 출신 사람들이 중국공산당을 피해 대거 이주해옴에 따라

     기존의 한족장개석과 함께 온 한족간에 새로운 갈등이 생기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건이 1947년의 2.28사건이었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205&cid=505&categoryId=505

 

   - 시디그 발레(seediq bale, 2011년) 무지개 전사들이란 영화가 일제강점기때 고산 원주민들과 일본군간의 전쟁에 대해 다룬 영화로

       유명  http://movie.naver.com/movie/board/review/read.nhn?nid=2675866

   -  비정성시(1989년)란 영화는 기존 한족과 장개석과 함께 온 한족 간의 갈등을 다룬 영화로 유명하죠.

               http://youtu.be/uJVvIdKpeMM (유튜브에 비정성시라는 영화 전체가 올려져 있는데, 한글자막은 없습니다.)

              

 

 

전시를 볼 때 대만의 역사를 미리 어느 정도 알고 보면 더 유익한 시간이 될 듯하여

대만의 역사부분 전시내용을 포스팅해봅니다.

 

 

 

 

 

 

 

 

 

 

 

 

 

 

14개 원주민들의 주 거주지역은 대만의 우측 절반 산악지대이고, 좌측 절반 평야지대에는 한족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음.

 

 

(아래 그림을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큰 그림으로 내용을 한번 읽어보시면 전시관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포대희 인형이란 장갑처럼 손가락에 끼워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인형입니다.

교지도란 건물 외부에 붙여놓은 장식물로 채색도자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외국유물이라서 그런가 사진을 찍지 말라더군요.

그리고 지나친 스포일러인 듯해서, 12월1일 전시가 끝난 후, 그나마 제지 받기 전에 찍은 사진들을 올려 볼까 합니다.

교지도 사진을 제대로 못 찍은 것이 아쉽더군요.

 

참고할 블로그 http://blog.naver.com/cjdtla002/40198596328